본문 바로가기

전문학사학위

컴퓨터네트워크 전문학사 취득방법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해결~!

안녕하세요~!


교육부정식인가 교육원

학습설계팀 김동주 팀장 입니다.





현재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IT, 보안 등 다양한 계열에서 학위를 우대하고 있기에


이러한 요소들을 갖추고 취업이나 승진, 연봉협상을 하시려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인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학위를 수여 받기 위해 직접 대학에 가는 것은


본업을 포기해야 하다보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고민만 하시게 됩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온라인으로 쉽게 해결을 할 수 있는 학점은행제


컴퓨터네트워크 과정을 통하여 전문학사를 취득하고 원하는 곳에 활용을 하는


방향성으로 나아가게 될것입니다.


그럼 앞으로 학점은행제 컴퓨터네트워크 전문학사를 취득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며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점은행제 란?>


학점은행제는 그본적으로 교육뷰에서 주관하고 있는 평생교육제도 입니다.


모든과정들을 온라인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어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가끔가다 모두 사이버로 해결을 할 수 있다보니 활용이 정말 가능한지 의문점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있지만 취업 뿐만 아니라 대학입학, 편입 그리고 대학원 입학까지


다양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공, 일반, 교양 각각의 점수를 맞추셔야 됩니다.


이러한 학습설계가 잘 못 된다면 또 다시 한 학기를 더 이수해야 하는 상황도 생기고


혹은 새홉게 다시 시작을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어서


혼자서 추진을 할때는 여러 피해사례들로 인해 불리함을 받게 되는 일도 많습니다.


이런한 일들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하게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학습설계사의 도움을 받아 본인에게 필요한 커리큘럼을 구성 후 진행을 해야 합니다


일반인의 입장에서 이러한 정보들을 찾아보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을 하고 진행을 해주세요~!




<온라인 수업 방식>


온라인으로 전 과정을 추진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보니


이러한 점들은 도대체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가장 궁금해 하실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여 기준치의 학업점수를 모아 학위를 받게 되며


수업은 매일 듣는것이 아닌 주차별로 2주간의 출석기간이 있기때문에


출석기간 안에만 이수를 하시면 됩니다.


대략 이런식으로 진행이 되다 보니 현재 바쁘신 직장인 분들 그리고 주부님들,


불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분들이라고 하더라도 큰 무리없이


끊어보기, 이어보기, 몰아보며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PC / 노트북 / 핸드폰 / 테블릿 등 전자기기인터넷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지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닌 이 모든것들을 끝마치는데 있어서 걸리는 시간도 매우 짧은편입니다.


이러한 점까지 고려를 한다면 휠씬 더 효율적이기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전문학사학위 취득기간>


학점은행제는 학년제가 아닌 학점제 이기때문에 


정확히 언제이수한다 이런거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모두가 똑같이 시작을 해서 똑같은 시점에 끝을 내게 되는 것이 아닌


각자의 커리큘럼에 따라서 크고 작은 차이가 발생을 하게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학기를 단축 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통하여 남들보다 휠씬 효율적으로 끝낼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고졸의 기준으로 2 ~ 3학기가 걸리고 있으며


자퇴생이라고 한다면 전적대에서 이수한 내역을 끌고 와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한적인 측면은 어떻게 커리큘럼을 구성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에


혼자 무리를 하거나 인터넷에 떠도는 잘 못된 정보를 따라하다간 오히려 독이 됩니다.





<학점이수 방법>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은 총 4가지방법으로 취득이 가능합니다.


온라인수업, 학점인정 자격증, 독학학위제, 전적대


이렇게 4가지 방법으로 학점이수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학위를 받으시는 분들은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단기간에 원하는 학위를 취득하고 있고,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단기간에 학위를 취득한다던지


아니면 원하는 자격증 또는 자격증 시험을 보기위해 응시자격을 맞추고 있습니다.


학점이수 방법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학점이수방법>


온라인수업은 1과목에 3학점 입니다.


1학기에 최대 8과목(24학점), 1년에 최대 14과목(42학점) 인정이 가능하며


1주차 강의당 약 90분의 수업으로 구성이 되여 있으며


2주간의 출석인정 기간이 주어집니다.


그리고 과목별로 당연히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 토론 등이 있고,


한학기는 15주과정으로 진행이 됩니다.


강의는 주차별로 2주의 기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바쁘신 직장인분들


또는 주부님들 남녀노소 누구나 여유롭게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자격증 학점이수방법>


자격증의 종류는 2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일반자격증 그리고 전공자격증으로 나누어 집니다.


일반자격증일반학점으로 인정이 되고,


전공자격증전공학점으로 인정이 됩니다.


그리고 자격증 별로 취득학점이 다르고


최소 4학점 ~ 최대 45학점까지 인정이 됩니다.


그리고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학점으로 인정이 되면 좋겠지만


전문학사학위, 학사학위 학위별로 갯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전문학사학위 - 전공 2개 또는 전공 1개, 일반 1개


학사학위 - 전공 3개 또는 전공 2개, 일반 1개


쉽게 말해서 전문학사는 2개 그리고 학사는 3개 입니다.






<독학사 학점이수 방법>


독학사(독학학위제)는 쉽게 말하면 대학교 검정고시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1 단계 ~ 4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계별로 시험은 일년에 한번 있습니다.


그리고 과목별로 합격을 하셔야 학점으로 인정이 되는데


합격 기준은 시험을 보고 60점이상만 받으시면 됩니다.


1 단계 - 과목당 4학점, 최대 5과목


2 단계 - 과목당 5학점, 최대 6과목


3 단계 - 과목당 5학점, 최대 6과목


4 단계 - 과목당 5학점, 최대 6과목


이렇게 인정이 됩니다.


위에 표시되어 있는 과목 이상 합격을 하셔도 학점으로 인정을 받을 수 없습니다.






<전적대 학점이수 방법>


전적대라고 하면 전에 다니던 대학교에서 이수한 학점을 말합니다.


전문대를 졸업을 했거나 중퇴, 자퇴 또는 제적 그리고 졸업 하셨을 경우에는


이수한 학점을 온라인으로 가지고 와서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F학점은 온라인으로 학점인정이 불가능하다가는 점!!!!!


2 년제 자퇴, 중퇴, 제적 또는 졸업 - 최대 80학점


3 년제 자퇴, 중퇴, 제적 또는 졸업 - 최대 120학점


4 년제 자퇴, 중퇴 또는 제적 - 최대 140학점


온라인으로 학점 이수가 가능합니다.


주의할점은 4년제 졸업하셨을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학점을 가지고 올 수 없습니다.







<학점은행제 ★ T I P ★>


온라인 수업을 들을 때 가장 중요한점은 반드시 정확한 정보를 알아보고


잘못된 정보로 시작하지않게 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필요없는 과목을 이수하게 되면


학점으로 인정 받아도 도움이 안됩니다.


그래서 시작할려고 알아보는 분들 또는 혼자서 진행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자신에게 맞는 과목들을 이수하고 있는지 체크하시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편하게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만하게 보시고 마음대로 진행을 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만약에 저와 함께 진행을 한다고 하시면


정확한 학습설계와 최저비용으로 수업을 이수할 수 있게 도와드리고


손해보는 일은 없도록 자신있게 약속 드리겠습니다.


1:1 관리는 누구보다 자신이 있고 다른분들 보다 편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저와 함께 진행을 했는데


제가 안내해 드린 플랜되로 진행을 했으나 학위가 안나온다던지 아니면


잘 못된 부분이 있으면 100% 보상해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학습설계팀 김동주 팀장이었습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명함을 클릭해주세요~! ▼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